정보+뉴스

태극기에 담긴 의미

張河多 2012. 1. 14. 12:51

태극기에 담긴 의미

마건충(馬建忠)이 제안한 태극도.
청(淸)나라 사신 마건충이 반홍, 반흑의 태극에 8쾌를 그려서 조선(朝鮮)의 국기로 사용할 것을 제안하였으나 고종(高宗)이 크게 노하여 새로운 태극기를 창안하였다.

조선왕조 말기 정치인이었던 박정양(1841~1904)이 소장하던 태극기.
1884년에 만 든 것으로 추정되며 그후 1900년 이화학당 4대 총장 쥬디씨가 똑같이 그려 사용하였고 현재 스미스 소니언(Smith sonian)에서구입 소장(所藏)중.
현존하는 태극기 중 가장 오래된 태극기이다.

1886년 외교 고문이었던 데니시(Deny, Owen N)가 재임시 고종황제(高宗皇帝)로부터 하사(下賜)받은 태극기이다.
데니씨는 당시 조선왕조를 간섭하던 청(淸)나라를 신랄하게 비난하였던 미국인 외교고문(顧問) 이었다.
태극기의 특징은 통상약장 태극문양과 비슷하나 음방과 양방의 위치가 다르며 몸체가 가늘고 길다.

1900년 무렵의 태극기로서 일본의 침략이 노골화 되자 이를 단호히 저항하면서 굳건 히 항일운동을 펴자는 글이 태극기 양쪽에 새겨진 항일 독립운동 태극기이다.
일본이 이 태극기를 빼앗아 갔다가 1967년 반 환하였으며 지금은 독립기념관에 소장(所藏)



태극기는 대한민국의 국기로 조선 1882년 박영효가 옥생바탕위에 파란 원을 그려넣어 최초의 태 극기가 만들어졌다고 한다.
당시의 태극기는 현재의 모양과 같이 건곤감이와 원은 있었으나 그들을 이루는 비율이나 괘의 모 양이 약간 다른 형태로 구성되었다.
하지만 일제강점기를 넘어오면서 약 5번에 걸친 변경작업이 있었으며 그중 최초의 태극 기가 현재 정립된 태극기와 가장 유사한 형태이다.

# 태극기의 변천사


<1882년, 최초의 태극기. 괘의 모양이 다르다.>


< 고종이 그렸던 태극기 >

<2차수정된 태극기, 태극의 비율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3차수정된 태극기, 전시된적이 있다.>

<현재의 태극기, 대칭과 비율을 중시하였다,>


태극기 5대 정신
   

기 평

면 화

백 의

색 정

은 신


태 단

극 일

원 의

형 정

은 신


청 창

홍 조

음 의

양 정

은 신


건 무

곤 궁

양 의

괘 정

은 신


이 광

감 명

양 의

괘 정

은 신








    # 태극기의 구조

우리나라 국기(國旗)인 '태극기'는 흰색 바탕에 가운데 태극 문양과 네 모서리의 건-곤-감-리(乾坤坎 離) 4괘로 구성되어 있다.
태극기의 흰색 바탕은 밝음과 순수, 그리고 전통적으로 평화를 사랑하는 우리의 민족성을 나타내고 있다.
가운데의 태극문양은 음과 양의 조화, 상보성원리를 내포하고 있으며 이들의 조합과 발전을 모서리 4개의 괘를 통해 형 상화된 구조를 지닌다.

이들중 건(乾)은 만물을 상징하는 우주에 근거하여 '하늘'을 뜻하며 곤(坤),감(坎),리(離)는 각각 땅과 물, 불을 상징하고 있는데 이들은 태극을 중심으로 통일의 조화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태극기는 4개의 괘와 태극 문양과 같 이 자연과 더불어 끊임없는 발전과 민족의 번영을 담고 있다.


       (건) - 정의, 하늘, 어질다, 나무      (곤) - 끈기, 땅, 예절, 불

       (감) - 지혜, 달, 물                      (이) -  결실, 해, 진실, 쇠



    # 태극기 그리기

태극기는 '조화'와 '통일'을 중요시 하므로 균형을 위하여 까다로운 형식을 가지게 된다.
일단 가 로와 세로의 비율은 3 : 2 이어야 하며, 각 4개의 괘는 중앙의 태극문양의 지름과 관계가 깊다.
또한 태극문양의 지름은 용지의 세로길이의 1/2로 정해진다.

기본규격은 아래와 같다.

위 그림은 체계적인 순서로 잡혀있지 않아 처음 보는 사람에게는 혼동하기 쉽게 느껴진다.
따라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직접 아래와 같은 순서로 그려보았다.
이를 그리기 위한 재료는 기본용구인 연필과 색연필, 컴퍼스와 자등이 필요하다.


태극 도형은 반만년 역사속에 우리 민족과 함께 숨쉬어온 정신적 상징입니다.
  1. 태극도형은 삼국시대에도 사용되었음.
  2. 태극기로는 이조시대 어기라하여 태극주의에 8쾌를 그려넣어 어기로 사용한바 있었음.

  3.

현재와 같은 태극주위에 4쾌가 그려진 태극기는 1874년 고려국기라하여 청국주재 미국인 공사 에 의하여 청국에 소개된바 있음.
  4. 1882년 8월(음)박영효가 수신사로 일본 갔을때 대외공식적으로는 최초로 사용하였다함.
  5. 1883년 1월(음) 고종 20년 태극4쾌가 그려진 기를 국기로 사용토록 왕명으로 공포하엿으나 정확 한 제작 사용방법등을 규정하지 않음.
  6. 1949년 1월 대통령 특명으로 "국기시정위원회"를 구성한 이후 수차에 걸친 회의끝에현행국기를 확정하였음
   ※ 당시 5가지 국기도안중 제 3안이 선정되었다.

① 제1안 구왕궁 소장안
② 제2안 군정문교부안
③ 제3안 우리국기 보양회안
④ 제4안 이정혁 건설안
⑤ 제5안 독립문 의거안
  7. 1949년 10월 : 국기제작 방법공포(문교부고시 제2호)
  8. 1950년 1월 : 국기게양방법공포(국무원고시 제8호)
  9. 1966년 4월 : 국기에 관한건 공포(대통령 고시 제2호)
 10. 1984년 2월 : 대한민국 국기에 관한 규정 제정공포(대통령령 제11361호)
 11. 1987년 4월 : 대한민국 국기에 관한 규정 개정(대통령령 제12148호)
※ 국기강하시각 변경
 12. 1989년 3월 : 대한민국국기에 관한 규정 개정(대통령령 제12642호)
※ 국기의 실내 게양방법 등 개선
 13. 1996년 3월 12일 : 대통령령(제14943호)
※ 국기에 대한 맹세 전문 개정
 14. 1996년 12월 27일 : 대통령령(제15182호)
※국기의 표준색도 및 국기게양방법 개정

編輯 ... 張河多    多張印河

'정보+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 각국 자료모음  (0) 2012.01.18
잘못 읽기쉬운 한자들  (0) 2012.01.15
신미양요(辛未洋擾)  (0) 2012.01.01
고사+사자성어 풀이  (0) 2011.12.30
1900년대 전 후 사진들...  (0) 2011.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