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새 기러기들의 본능...
만일 당신이 철새 기러기 들이 겨울을 나기 위해 V자형을 그리며 남쪽으로 날아가는 것을 본다면 그들이 왜 그런 형태의 대열을 이루며 날아가는가에 대해 궁금 할 것이다.
각각의 새들이 날개를 저으면 그것은 바로 뒤에서 따라오는 새를 위해 상승 기류를 만들어 준다 는 것이다. V자를 그리며 날아감으로써 전체 기러기 무리는 각각의 새들이 혼자서 날아가는 것보다 최소한 71퍼센트의 더 먼 거리를 날 수가 있다는 것이다.
사람도 이와 마찬가지로 공통의 목적을 갖고 함께 일하면 훨씬 더 빠르고 쉽게 목적지에 이를 수 있다. 서로의 추진력에 도움을 주고 받으며 작업을 하기 때문이다.
한 마리의 기러기가 대열에서 이탈하면 그 순간 그 기러기는 대기의 저항력을 느낀다. 그래서 기러기는 재빨리 대열에 합류한다. 앞서가는 새의 추진력에 도움을 받기위 해서다. 대열의 맨 앞에서 날아가는 기러기가 지치면 뒤쪽으로 물러나고 금방 다른 기러기가 앞장선다.
만일 우리가 기 러기 만 큼의 분별력이라도 갖고 있다면 우리는 우리와 같은 길을 향해 나아가는 사람들과의 대열에 합류하려고 할 것이다.
우리 인간들도 힘든 일은 솔선수범 하는 것이 현명한 일이다.
뒤쪽의 기러기 들은 앞서 가는 기러기들이 속도를 유지하도록 힘을 북돋우기 위해 계속해서 울음소리를 낸다. 우리가 뒤쪽에서부터 격려의 말을 들을 때 우리는 어떤 메시지를 받는가?...
어떤 기러기가 병에 걸리거나 사냥꾼의 총에 부상을 입어 대열에서 낙오 되면 두 마리의 다른 기러기들이 그 기러기와 함께 대열에서 이탈 해 그 기러기가 지상에 안착 할 때까지 도와주고 보호해 준 다고 한다.
두 마리의 기러기는 낙오된 기러기가 다시 날 수 있을 때까지 아니면 죽을 때까지 함께 머문다고 한다. 그런 다음에야 두 마리의 기러기는 하늘로 날아올라 다른 기러기들의 대열에 합류 한다고 한다.
만일 우리가 기러기 만 큼의 분별력이라도 있다면 우리도 그들을 본받아 서로 의지하며 살아 갈 수 있을 것이다.
작자 미상
'보물+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99 88 2 3 4 (0) | 2012.10.25 |
---|---|
희귀사진 모음 (0) | 2012.10.17 |
손의 중요성... (0) | 2012.09.23 |
분재사진과 허튼소리 (0) | 2012.09.17 |
인요한 박사 강연글 (0) | 2012.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