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명(兒名)
어렸을 때 부르던 이름. 초명(初名)이 라고도 한다.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경우, 이(珥)는 관명(冠名)이지만,
아명은 그의 어머니 신사임당(申師任堂)이 꿈에 용을 보았다 하여 현룡(見龍)이라 하였다.
자(字)는 숙헌(叔獻)이고, 호(號)는 율곡 외에도 석담(石潭), 우재(愚齋) 등이 있다.
□ 관명(冠名)
장성해서 그 집안의 항렬에 따라 짓 는 이름.
□ 자(字)
대체로 혼인한 후에 본 이름 대신 부르는 이름.
성인식인 관례(冠禮) 치를 때 의식(儀式)을 주관하는 주례자(主禮者)가 지어준 이름을 말한다.
□ 호(號)
자(字) 이외에 쓰는 아 명(雅名)으로, 학자, 문인, 서화가들이 가지는 또 하나의 이름.
□ 시호(諡號)
임금이나 경상(卿相), 유현(儒賢) 등이 죽은 뒤에, 임금이 그 행적을 칭송하면서 추증(追贈)하는 이름.
□ 항명(行名)
가문의 항렬자(行列字)에 따라 족보 에 오르는 이름 .
□ 별호(別號)
특별히 학문 예능 등이 뛰어나 학문 단체 등에서 지어주는, 따로 부르는 이름.
□ 함자(銜字)
살아계신 웃어른의 이름자를 부를 때
□ 휘자(諱字)
돌아가신 웃어른의 이름자를 부를 때
※ 함자ㆍ휘자는 이름자 사이에 자(字)를 넣어서 부르거나,
글자 뜻을 풀어서 말하는 것이 예의이다.
※ 서민은 아명으로 평생을 살다 가기 도 하였다.
※ 여성에 경우 특별한 경우 외에는, 출가와 함께 아명(兒名)은
없어지고, 대신 택호(宅號)로 불리워졌다.
(예 : 서울댁, 청주댁 , 목포댁 등...)『앤도르핀』을 Click 하시면 많은 자료를 보실 수 있지요...
張河多
'정보+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절의 순환(24절기 보기) (0) | 2011.03.15 |
---|---|
만세력 (0) | 2011.03.10 |
유명 인사들의 아이큐 (0) | 2011.03.06 |
유적지 (동대문 운동장) (0) | 2011.03.06 |
컴사용시 주의사항 10가지 (0) | 2011.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