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병우 박사 이야기 -
♡ 나의 죽음을 세상에 알리지 말라 ♡
그 한마디를 남기고 조용히 하늘로 떠났습니다.
충무공의 얘기가 아닙니
다.
1995년 3월 7일 아흔을 일기로 세상을 떠난 한국 최초의 안과의사
공병우 박사의 유언이었습니다.
그는 장례식도 치르지 말라 쓸만한 장기와 시신은 모두 병원에 기증하라.
죽어서 한 평 땅을 차지하느니 그 자리에 콩
을 심는것이 낫다.
유산은 맹인 복지를 위해 써라'는 말을 남기고 이승을 떠났습니
다.
만약 그렇게 하지못한다면 가장 가까운 공동묘지에 매장하되 입었던 옷 그대로 값싼 널에넣어 최소면적의 땅
에 묻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이런 유언 때문에 공박사가 별세했다는 소식은 이틀이 지나서야 동아일보 특종기사를 통
해 세상에 알려졌습니다.
공박사는 콘택트렌즈와 쌍꺼풀 수술을 국내에 도입한 유능한 안과 의사였지만 한글사랑,
맹인사랑으로 유명합니다.
그는 1938년 공안과에 눈병 치료를 받으러 온 한글학자 '이극로'를 통해 >한글의 우수성에
대해 감화를 받아 한글의 과학화에 앞장섭니다.
고성능 한글타자기를 발명했고 한글 텔레타이프, 한영 겸용 타자
기, 세벌식 타자기등을 보급했습니다.
한글시력표를 만들었고 한글문화원을 세워 한글 글자꼴과 남북한 통일 자판문제
등에 대해 연구했습니다.
공박사는 특히 3벌식 타자기에 애착이 컸는데 3벌식 키보드를 써본 사람들은 2벌식보다
타이핑속도가 훨씬 빠르고 오자가 적은데다 편리하다고 한 목소리를 내더군요.
정부가 성급히 2벌식을 표준으로 정하
는 바람에 시장에 보급되지 못한것이 못내 아쉽습니다.
공박사는 당시 PC 통신에서 3벌식 타자의 우수성에 대해
수많은 글을 남겼습니다.
그는 또 자신은 옷과 신발을 해어질때까지 입고 신으며 검소하게 살았지만 맹인 부흥원을 설
립하고 맹인을 위한 타자기와 지팡이를 개발하는등 장님을 위한 일에 돈을 아끼지 않았습니다.
한국일보에 의해
한국의 고집쟁이 6위로 선정된 그는 수많은 일화를 남겼습니다.
일제시대에 창씨개명을 거부하며 공병우 사망을 선언
했고 서슬퍼런 5공화국시절 대놓고 정부를 비판했습니다.
형식보다는 실천에 충실해 집안의 문지방을 모두 없애버렸고
못사는 나라에서 옷치장에 시간을 낭비해선 안된다며 한복을 입지 않았습니다.
아들의 결혼식에서 며느리에게 폐
백에 절하는 것보다 악수나 한번 하자고 청했을 정도 입니다.
시간을 금쪽같이 여겨 5분이상 머리를 깎는 이발소, 낮
에 열리는 결혼식에는 가지않았습니다.
평생 생일잔치를 하지 않았고 미리 예약하지 않고 온 손님은 아무리 귀한 사람
이라도 돌려보냈습니다.
공박사는 미국에서 한 60대 언론인을 만나 얘기하면서 젊은 사람이 컴퓨터도 안 배우냐고
호통을 쳤다고 합니다.
그는 나이의 문제가 아니고 얼마나 공부를하며 사회에 열심히 공헌 하느냐가 잣대라고 말해 왔
습니다.
자신도 그렇게 젊게 살다가 가셨습니다.
늘 공부하며 사는것 남의 눈치보다는 옳다고 믿는것을 실천하
며 사는것, 소아(小我)보다는 큰 뜻에따라 사는것, 사랑을 품고사는것, 이러한 삶이야말로 젊은삶이 아닐까요.